영화 [강철비2: 정상회담 (Steel Rain2: Summit, 2019)]은 2020년 7월 29일 개봉한 한국 영화입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연재되었던 웹툰 [스틸레인3: 정상회담]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목차
다소 복잡한 초반부
한반도를 둘러싼 나라들 각자의 입장과 계획들이 교차하며 영화의 초반부에는 서로의 관계 설정과 각자의 입장 정리 등을 위해 다른 영화들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량이 관객들에게 전달됩니다. 평소 정치나 역사 등 한반도 정세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사람이라면 쉽게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잠시라도 방심하는 순간 누가 어떤 입장이고 어떤 꿍꿍이를 품고 있는지 놓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우리가 마주한 현실과 크게 다른 것이 없는 설정들이었기 때문에 한번 머릿속에서 모든 정리가 끝난 후에는 더 몰입해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영화 속 캐릭터들의 특징과 배역을 맡은 배우들의 노력
영화의 초반부, '정우성' 배우가 처음으로 등장하고 대통령인 것이 드러날 때 그 비주얼과 역할 사이에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지는 순간이 있었습니다. 대통령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젊고 잘생긴 것이 아닌가 하는 편견이 마음속에 자리 잡았죠.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연기가 진행될수록 참 잘 맞는 옷을 입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정우성 배우가 평소에 보여왔던 바르고 곧은 행보도 한몫을 한 것 같습니다. '유연석' 배우가 연기한 북 위원장 캐릭터도 실제의 모델이 존재하는 만큼 그러지 않으려고 해도 자꾸만 실제의 인물과 영화 속의 캐릭터를 무의식적으로 비교하게 되었는데요. 결론적으로는 유연석 배우 나름대로의 캐릭터를 잘 구축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제의 인물과 비슷하면서도 유연석 배우가 구축한 캐릭터만의 특징이 느껴졌습니다. '엥거스 맥페이든' 배우가 연기한 미국 대통력 역할은 누가 보더라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희화한 캐릭터인 것이 느껴졌는데요. 세 정상이 한 공간에 갇혀있는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의외의 조화와 웃음은 자칫 무겁게만 흘러갈 수 있는 이야기에 균형감을 가져다주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역할의 무게감이 있는 만큼 캐릭터를 다소 가볍고 유머러스하게 소비하는 방식이 어떤 관객들에게는 불편하게 다가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확실히 이 지점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곽도원' 배우와 '신정근' 배우가 연기한 북한 호위총국장 역할과 부함장 역할은 이야기의 중심을 지탱하는 주요한 캐릭터들로 존재하는데요. 이번 영화에서는 개인적으로 신정근 배우의 존재감이 매우 컸다고 생각합니다. 역할 자체의 특성도 한몫했겠지만 이야기 안에서 자신의 위치와 수행해야 할 목표를 확실히 알고 움직이는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덕분에 마지막까지 균형감을 잃지 않고 영화가 결말에 도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류수영' 배우가 연기한 함장과 곽도원 배우가 연기한 호위총국장의 관계는 단순한 형재애를 넘어서는 무언가가 느껴지며 굉장히 끈끈해 보였는데요. 이야기의 흐름상 장면으로 설명은 안 되었지만 과거에 둘 사이에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세 정상의 뒤바뀌는 관계
영화의 초반부, 북한과 미국의 정상회담 장면에서는 두 정상이 서로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대립하며 남한 대통령 '한경재'가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동분서주하며 두 정상을 설득하기 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후 세 정상이 백두호에 납치된 뒤 꼼짝없이 비좁은 함장실에 갇혀 함께 시간을 보내야 하는 상황에서는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 한경재를 도와 그래도 조금이나마 영어를 할 줄 아는 북 위원장이 한경재의 말을 미국 대통령 '스무트'에게 전해주는데요. 본래 회담장에서는 한경재가 하던 역할을 잠수함 안에서는 북 위원장이 하게 되는 관계의 전환이 이루어져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도 실제 유학파인 '김정은' 북한 위원장에 모티프를 얻어 영화 속 북 위원장의 유창한 영어가 가능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봅니다. 개인적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는 세 정상의 대화 장면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느껴지는 부분들도 있었는데요. 특히나 세 정상이 티격태격 거리며 싸우다 다시 정신을 차리고 제대로 된 이야기를 나눠보자며 독도에 관한 우리나라와 일본의 입장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장면 같은 경우 영화의 흐름이나 리듬이 지루하게 늘어지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감독이 관객들에게 또 세상에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를 밀어붙이는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런 부분은 영화가 끝난 뒤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갈 수 있는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정교한 잠수함 액션
다소 무거운 소재와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상업영화로서 [강철비2: 정상회담]을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후반부에 몰아치는 잠수함 액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잠수함이라는 공간은 그 자체로 '한반도'를 은유하기도 하는데요. 영화의 제작진은 '북한이 핵잠수함을 만든다면 어떤 식으로 만들까.'라는 고민을 시작으로, 군사적으로 설득력 있는 잠수함을 만들기 위해 러시아 잠수함을 중심으로 자료들을 수집했다고 합니다. 또 핵잠수함 속에서 벌어지는 위기 상황을 실감 나게 보여주기 위해 해군 잠수함장으로 복무했던 '김용우' 전 함장의 도움을 받아 잠수함 내부 장치에서부터 기구들의 작은 디테일까지 섬세하게 채웠다고 하는데요. 그밖에 제작진은 실제 잠수함의 부품을 납품하는 회사가 있는 '진해'로 찾아가 내부 부속품들을 구했고, 실제 잠수함과 거의 흡사한 사이즈의 세트를 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생사가 걸린 상황에서 펼쳐지는 백두호와 일본 잠수함과의 교전 장면들이 후반부에 시각적인 만족감을 담당하며 영화의 보는 즐거움을 상당 부분 책임져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자막과 제목
영화에서 처음으로 북한군이 등장할 때 자막이 등장해서 조금 의외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동안 북한 사람이 등장하는 영화들은 많았지만 북한 사람들이 하는 말을 자막으로 처리하는 영화는 제가 기억하기로는 한 편도 없었거든요.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난 후 관객들의 반응을 살펴보니 북한말에 자막을 달아준 것이 좋았다는 반응들이 꽤나 많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북한말에 자막을 달아주는 이유가 단순히 말의 의미 전달을 돕기 위한 것으로만 생각하다가 보통 말에 자막을 다는 이유는 그것이 '외국의 언어'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어 북한을 남한과 구별되는 외국으로 표현하기 위해 자막을 달아주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개인적인 해석을 해보았습니다. 마지막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며 보이는 영상, 북미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남북의 정상이 함께 연설을 하는 장면에서는 북 위원장의 말에 자막이 없는 것을 보며 이런 생각에 더 큰 확신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제목인 '강철비'는 영화 속에서 두 개의 태풍이 합쳐지며 형성된 거대한 하나의 태풍을 의미하며 남과 북의 긴박한 대치상황을 은유하는 메타포처럼 느껴지기는 하지만 영화의 이야기와 메시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기여도는 떨어져 1편과의 연결성을 만들어주며 [강철비 유니버스]를 구축하기 위한 다소 작위적인 작명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딱 좋을만한 치우침, 괜찮은 국뽕
영화의 소재가 소재인 만큼 영화 속에는 감독의 정치적인 성향이 짙게 묻어납니다. 물론 받아들이는 관객들마다 개인차는 존재하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너무 부담스럽거나 불편하지 않은 치우침이라고 느꼈습니다. 엔딩 부분에서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좋아할 만한 애국심을 자극하는 장면 또한 포함되어 마음속에 왠지 모를 벅차오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영화 [강철비2: 정상회담]는 상업영화로서는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소재를 특유의 유머와 균형감각으로 깔끔하게 만들어낸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작을 보지 않았지만 관람에 전혀 지장이 없었고 감독의 관심사와 메시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었으며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영화의 희망적인 엔딩과는 다른 현실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이 매우 안타깝지만 빠른 시일 내로 영화 속 판타지가 현실로 실현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오늘은 이렇게 [강철비2: 정상회담]에 대한 리뷰를 진행해보았는데요. 영화를 보신 여러분의 의견 또한 궁금합니다. 댓글을 통해 소통해 주세요!
'극장 영화 >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반도] - 반도? 관 둬! 돌아와줘 연상호! (0) | 2022.07.19 |
---|---|
영화 [블루 아워] - 개와 늑대 사이의 시간 (0) | 2022.07.18 |
영화 [오케이 마담] - 괜찮은 소재, 아쉬운 감각 (0) | 2022.07.14 |
영화 [테넷] - 이해하지 못하면 느낄 수도 없는 영화 (0) | 2022.07.13 |
영화 [더 프롬] - 날갯짓만 화려한 공작새 (0) | 2022.07.12 |
댓글